금강 녹조
Q. 금강 수질 상태 "주의"?
금강 백제보의 수질 상태가 주의 단계라고 합니다. 금강의 녹조가 악화되면서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 것인데요. 계속된 폭염으로 인해 녹조가 늘어났다는 분석입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인 남조류가 폭염으로 인해 늘어났기 때문에 녹조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현재 금강 외에도 많은 강에서 녹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금강의 경우 시원하게 흘러야 하는 물길이 다른 수중보가 생겨나며 호수 수준의 강이 되었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녹조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Q. 물고기도 힘들어해?
녹조가 심각한 곳을 보면 물고기들이 집단으로 폐사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 속에서 숨을 쉬는 물고기들이 용존 산소가 차단되어 숨을 못 쉬게 되면서 죽게 되는 것인데요. 녹조가 하천을 뒤덮어 버리게 되면 태양빛이 차단되어 용존 산소의 공급이 차단된다고 합니다. 말 그대로 용존 산소가 없어진 강은 생명이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녹조류 역시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용존 산소를 먹고 살기 때문에, 녹조 현상이 심각한 곳에서는 용존 산소량이 많이 부족해 진다고 합니다.
Q. 녹조 예방 방법?
녹조가 발생하는 3대 조건이 있다고 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에 영향을 주는 영양염류와 수온, 그리고 햇빛이라고 합니다. 이 3대 조건이 맞으면 녹조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특히 유속이 느리거나 물이 정체가 심각한 곳에서 잘 일어난다고 하며, 녹조 3가지 조건만 제어한다면 녹조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온의 경우 물을 방류하면 수온을 낮출 수 있으며,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된다고 합니다. 또한 유속을 빠르게 하여 영양염류가 하천에 쌓이지 않게 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시라노 정보전달단 > 오늘의 사회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푸어족 일을 해도 가난하다. (0) | 2016.08.22 |
---|---|
2016 을지연습 이란 무엇인가? (0) | 2016.08.22 |
대학가 평균월세 비싸도 너무 비싸. (0) | 2016.08.18 |
김대중 생가 화재 발생 (0) | 2016.08.18 |
순간 최대전력 갱신 (0) | 2016.08.12 |